13일 제주 코로나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로나 알림이
작성일21-08-13 13:37
조회305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제주 코로나19 발생·예방접종 현황 (13일 오전 11시 기준)
44명 확진…제주지역 확진자 접촉 33명, 타지역 방문·접촉 5명, 확인 중 6명
12일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신규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 20명 발생…누적 23명
제주 코로나19 발생·예방접종 현황 (13일 오전 11시 기준)
- 44명 확진…제주지역 확진자 접촉 33명, 타지역 방문·접촉 5명, 확인 중 6명 -
- 12일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신규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 20명 발생…누적 23명 -
제주특별자치도는 12일 하루 동안 총 3,008건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진단검사가 진행됐고, 이중 44명(제주 #1941~1984번)이 확진됨에 따라 누적 확진자 수는 1,984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44명의 감염경로를 보면 ▲33명은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제주 #1942~1947, 1949~1965, 1971~1973, 1976, 1977, 1979, 1980, 1982~1984번) ▲5명은 타지역 확진자 접촉 및 타지역 방문자(제주 #1966~1968, 1975, 1978번) ▲6명은 코로나19 유증상자(제주 #1941, 1948, 1969, 1970, 1974, 1981번)다.
확진자 가운데 21명(1942, 1943, 1946, 1947, 1950~1963, 1977, 1982, 1983번)은 집단감염 사례와 관련이 있다.
❍ 1950번은 ‘제주시 음식점 3’ 관련 선행 확진자인 1907번의 접촉자다.
- 이로써 ‘제주시 음식점 3’관련 확진자는 8명이 됐다.
❍ 1950번을 제외한 20명(1942, 1943, 1946, 1947, 1951~1963, 1977, 1982, 1983번)은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와 연관 있다.
- 이들이 확진 판정을 받음에 따라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확진자는 총 23명으로 늘었다.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 21명을 제외한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12명은 개별 사례로, 가정·직장 등 일상공간에서 선행 확진자와 만남 등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 1972‧1979번은 가족 간 감염, 1964번은 직장 동료와 접촉, 1949‧1971‧1976‧1980‧1984번은 지인과 접촉, 1944‧1945‧1965‧1973번은 확진자와 동선이 겹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타 지역 방문 이력이 있는 도민 3명(1966~1968번), 타 지역 확진자 접촉 2명(1975, 1978번) 등 외부요인에 따른 확진 사례도 5명이다.
❍ 1966‧1967‧1968번은 가족으로 부산지역을 방문 후 10일 입도했는데 인후통 등의 증상이 있어 검사 결과, 확진됐다.
❍ 1975‧1978번은 부산시 확진자(부산 #9477)의 접촉자로 분류돼 검사 결과, 양성 판정 받았다.
제주 1941·1948·1969·1970·1974·1981번 확진자는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나타나 자발적으로 검사 받은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 방역당국은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경로를 확인하고 있다.
제주도는 확진자를 격리 입원 조치하고, 자택 및 숙소 등에 대한 방역소독을 완료했다.
❍ 또한 확진자 진술, 신용카드 사용내역, 제주안심코드 등 출입자 명부 확인, 현장 폐쇄회로(CC)TV 분석 등을 통해 이동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하고 있다.
한편, 제주도 방역당국은 12일 발생한 확진자 중 13명이 9개 초·중·고교의 학생 또는 교직원이며, 이중 5명은 학교 내 동선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 학교 내 동선이 있는 5명 중 3명은 11일 확진자가 발생했던 제주시 이도이동 소재 중앙여자고등학교(1명)와 제주시 구좌읍 소재 세화고등학교(2명) 학생으로 확인됐다.
- 13일 오전 11시 기준 제주시 소재 중앙여자고등학교와 관련 6명이 접촉자로 분류됐으며, 총 91명에 대해 검사를 실시했다.
- 이중 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89명은 음성으로 확인됐다.
- 세화고등학교와 관련 13일 오전 11시 기준 총 131명이 접촉자로 분류됐고, 361명이 검사받았다.
- 검사 결과 2명 양성, 334명 음성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25명에 대한 검사가 진행 중이다.
❍ 이외에 2명은 제주시 애월읍 소재 애월고등학교 교직원과 제주시 삼양2동 소재 삼양초등학교 학생으로 확인됐다.
- 애월고등학교와 관련 120명을 접촉자로 분류하고 검사를 진행 중이다.
- 제주시 삼양이동 소재 삼양초등학교와 관련 19명에 대한 검사진행과 함께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 검사 결과는 13일 오후부터 순차적으로 통보될 예정이다.
13일 오전 11시 현재 제주에서 격리 중인 확진자는 206명(서울 강서구 확진자 1명 포함), 서울시 이관 1명이다. 격리 해제자는 1,778명(사망 1명, 이관 24명 포함)이다.
❍ 도내 가용병상은 137병상이며, 자가 격리자 수는 956명(확진자 접촉자 634명, 해외 입국자 322명)이다.
8월 들어 232명이 확진됐으며, 세부 현황은 다음의 표를 참고하면 된다.
1) 제주지역 월별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월
별
20.2
3
4
5
6
7
8
9
10
11
12
21.1
2
3
4
5
6
7
8
누계
명
수
2
7
4
2
4
7
20
13
0
22
340
101
48
57
87
328
223
487
232
1,984
2) 최근 일주일간 확진자 발생 현황
일자
8.6
8.7
8.8
8.9
8.10
8.11
8.12
일주일
발생 누계
최근 1주간 1일 확진자수
명수
13
5
11
12
28
23
44
136
19.43
3) 이달 감염경로 분류 * 외부 영향 : a + b
구분
합계
제주 확진자 접촉자
타지역·해외 입도객(b)
확인중
소계
도민
타지역
(a)
소계
국내
해외
입국
확진자(명)
232
154
141
13
39
35
4
39
비 율(%)
100.0
66.4
60.8
5.6
16.8
15.1
1.7
16.8
4) 연령대별 발생 현황
구분
계
0세
~9세
10세
~19세
20세
~29세
30세
~39세
40세
~49세
50세
~59세
60세
~69세
70세 ~
확진자(명)
232
11
34
55
37
31
31
11
22
비 율(%)
100
4.7
14.7
23.7
15.9
13.4
13.4
4.7
9.5
5) 8월 12일 확진자별 감염경로
연번
확진자 번호
감염경로
선행 확진자
1
#1941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2
#194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40,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3
#194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가족,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4
#194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71
5
#194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34
6
#1946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7
#194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가족,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8
#1948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9
#194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20
10
#1950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07, 제주시 음식점 3 관련
11
#1951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2
#195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3
#195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4
#195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5
#195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6
#1956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7
#195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8
#1958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9
#195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20
#1960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21
#1961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22
#196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23
#196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24
#196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880, 격리 중 유증상
25
#196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837
26
#1966
타 지역 방문
7.20.~8.10. 부산 방문
27
#1967
타 지역 방문
7.20.~8.10. 부산 방문
28
#1968
타 지역 방문
7.20.~8.10. 부산 방문
29
#1969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30
#1970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31
#1971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45
32
#197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76
33
#197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00
34
#1974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35
#1975
타 지역 확진자 접촉
부산#9477
36
#1976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33
37
#197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38
#1978
타 지역 확진자 접촉
부산#9477
39
#197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876 가족
40
#1980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34
41
#1981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42
#198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43
#198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44
#198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44
제주지역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1) 인구 대비 접종률
(단위 : 명, %)
전 체
인구수1)
(A)
접종대상
인구수
(B)
접종목표(C)
(B * 70%)
접종자 수(D)
인구대비
(D/A*100)
접종대상대비
(D/B*100)
목표대비
(D/C*100)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674,635
575,116
402,580
284,825
115,679
42.2
17.1
49.5
20.1
70.7
28.7
1) 2020.12월말 제주도민 인구 수 ※ 제주도민(외국인포함) 인구수 697,578명 대비 접종률 1차 40.8%, 완료 16.6%
2) 이상반응 신고 현황
구분
소계
일반1)
특별관심이상반응
중증
의심사례
사망
사례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의심사례
전체
신규
29
29
-
-
-
-
누계
1,492
1,473
1
1
7
10
AZ
신규
3
3
-
-
-
-
누계
823
820
1
1
-
1
화이자
신규
21
21
-
-
-
-
누계
481
466
-
-
7
8
얀센
신규
-
-
-
-
-
-
누계
82
82
-
-
-
-
모더나
신규
5
5
-
-
-
-
누계
106
105
-
-
-
1
※ 관련 문의 :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총괄과 현승호 역학조사팀장 064) 710-4071
‘광복절 연휴 기간 동안 집에서 머무르기’ 대도민 캠페인
제주특별자치도는 14일부터 16일까지 ‘광복절 연휴 기간 집에서 머무르기’ 대도민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캠페인은 전국적으로 하루 2,0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광복절 연휴 기간(14~16일) 동안 피서객 등 이동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코로나19 지역감염 차단을 위해 마련됐다.
캠페인은 전 도민 대상 재난안전문자 발송, 노선버스 및 대형 전광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아파트 및 마을방송 등을 활용해 전개된다.
❍ 도는 캠페인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 외출 자제 등의 동참을 이끌어 낼 방침이다.
❍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와 모임 자제 등과 함께 마스크 착용, 제주안심코드 활용 등 코로나19 방역수칙에 대한 홍보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임태봉 제주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장은 “광복절 연휴 동안 가족과 이웃, 공동체 보호를 위해 여행과 외출을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면서 “부득이한 경우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 관련 문의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대응과 김양순 방역정책팀장 064) 710-4971
구만섭 도지사 권한대행, 사전 예측 통한 선제적 방역 점검 강조
- 13일 오전 재난안전상황실서 코로나19 코로나19 방역대책 긴급 전검회의 주재 -
- 광복절 연휴 기간 도민·관광객 대상 방역 수칙 준수 및 PCR 검사 등 홍보 주문 -
❏구만섭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권한대행이 과학적 분석을 통한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유형 사전 예측으로 선제적인 방역 점검을 강조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3일 오전 9시 30분 제주도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구만섭 권한대행 주재로 코로나19 방역대책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구만섭 권한대행은 이날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 관련 최근 변화하고 있는 확진자 발생 유형 원인 분석과 함께 도민 및 관광객 등의 이동 경향 예측을 통한 사전 방역 점검 활동을 강조했다.
❍ 구만섭 권한대행은 “그동안 도민 및 공직자 여러분께서 방역수칙 준수와 점검 활동을 열심히 해주셨지만, 확진자 발생 원인 파악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도민과 관광객들의 이동 경향을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방역 점검을 실시할 수 있도록 각 실국에서 신경 써달라”고 말했다.
❍ 이어 “최근 델타변이, 돌파감염 등으로 인해 방역 수칙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각 실국에서는 집단 감염이 발생할 소지가 있는 장소의 방역 수칙을 다시 한번 검토해서 대응 방향을 보완해달라”고 덧붙였다.
❍ 구만섭 권한대행은 특히 “광복절 연휴 기간 많은 관광객이 제주를 많이 찾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입도 전 PCR 검사 등 도민과 관광객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달라”며 “또한 다가오는 벌초 기간을 맞아 인원 제한 등 제주지역 실정에 맞는 대책을 수립해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 관련 문의 : 공보관 강희경 언론협력팀장 064) 710-2041
44명 확진…제주지역 확진자 접촉 33명, 타지역 방문·접촉 5명, 확인 중 6명
12일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신규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 20명 발생…누적 23명
제주 코로나19 발생·예방접종 현황 (13일 오전 11시 기준)
- 44명 확진…제주지역 확진자 접촉 33명, 타지역 방문·접촉 5명, 확인 중 6명 -
- 12일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신규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 20명 발생…누적 23명 -
제주특별자치도는 12일 하루 동안 총 3,008건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진단검사가 진행됐고, 이중 44명(제주 #1941~1984번)이 확진됨에 따라 누적 확진자 수는 1,984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44명의 감염경로를 보면 ▲33명은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제주 #1942~1947, 1949~1965, 1971~1973, 1976, 1977, 1979, 1980, 1982~1984번) ▲5명은 타지역 확진자 접촉 및 타지역 방문자(제주 #1966~1968, 1975, 1978번) ▲6명은 코로나19 유증상자(제주 #1941, 1948, 1969, 1970, 1974, 1981번)다.
확진자 가운데 21명(1942, 1943, 1946, 1947, 1950~1963, 1977, 1982, 1983번)은 집단감염 사례와 관련이 있다.
❍ 1950번은 ‘제주시 음식점 3’ 관련 선행 확진자인 1907번의 접촉자다.
- 이로써 ‘제주시 음식점 3’관련 확진자는 8명이 됐다.
❍ 1950번을 제외한 20명(1942, 1943, 1946, 1947, 1951~1963, 1977, 1982, 1983번)은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와 연관 있다.
- 이들이 확진 판정을 받음에 따라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확진자는 총 23명으로 늘었다.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 21명을 제외한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12명은 개별 사례로, 가정·직장 등 일상공간에서 선행 확진자와 만남 등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 1972‧1979번은 가족 간 감염, 1964번은 직장 동료와 접촉, 1949‧1971‧1976‧1980‧1984번은 지인과 접촉, 1944‧1945‧1965‧1973번은 확진자와 동선이 겹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타 지역 방문 이력이 있는 도민 3명(1966~1968번), 타 지역 확진자 접촉 2명(1975, 1978번) 등 외부요인에 따른 확진 사례도 5명이다.
❍ 1966‧1967‧1968번은 가족으로 부산지역을 방문 후 10일 입도했는데 인후통 등의 증상이 있어 검사 결과, 확진됐다.
❍ 1975‧1978번은 부산시 확진자(부산 #9477)의 접촉자로 분류돼 검사 결과, 양성 판정 받았다.
제주 1941·1948·1969·1970·1974·1981번 확진자는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나타나 자발적으로 검사 받은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 방역당국은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경로를 확인하고 있다.
제주도는 확진자를 격리 입원 조치하고, 자택 및 숙소 등에 대한 방역소독을 완료했다.
❍ 또한 확진자 진술, 신용카드 사용내역, 제주안심코드 등 출입자 명부 확인, 현장 폐쇄회로(CC)TV 분석 등을 통해 이동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하고 있다.
한편, 제주도 방역당국은 12일 발생한 확진자 중 13명이 9개 초·중·고교의 학생 또는 교직원이며, 이중 5명은 학교 내 동선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 학교 내 동선이 있는 5명 중 3명은 11일 확진자가 발생했던 제주시 이도이동 소재 중앙여자고등학교(1명)와 제주시 구좌읍 소재 세화고등학교(2명) 학생으로 확인됐다.
- 13일 오전 11시 기준 제주시 소재 중앙여자고등학교와 관련 6명이 접촉자로 분류됐으며, 총 91명에 대해 검사를 실시했다.
- 이중 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89명은 음성으로 확인됐다.
- 세화고등학교와 관련 13일 오전 11시 기준 총 131명이 접촉자로 분류됐고, 361명이 검사받았다.
- 검사 결과 2명 양성, 334명 음성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25명에 대한 검사가 진행 중이다.
❍ 이외에 2명은 제주시 애월읍 소재 애월고등학교 교직원과 제주시 삼양2동 소재 삼양초등학교 학생으로 확인됐다.
- 애월고등학교와 관련 120명을 접촉자로 분류하고 검사를 진행 중이다.
- 제주시 삼양이동 소재 삼양초등학교와 관련 19명에 대한 검사진행과 함께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 검사 결과는 13일 오후부터 순차적으로 통보될 예정이다.
13일 오전 11시 현재 제주에서 격리 중인 확진자는 206명(서울 강서구 확진자 1명 포함), 서울시 이관 1명이다. 격리 해제자는 1,778명(사망 1명, 이관 24명 포함)이다.
❍ 도내 가용병상은 137병상이며, 자가 격리자 수는 956명(확진자 접촉자 634명, 해외 입국자 322명)이다.
8월 들어 232명이 확진됐으며, 세부 현황은 다음의 표를 참고하면 된다.
1) 제주지역 월별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월
별
20.2
3
4
5
6
7
8
9
10
11
12
21.1
2
3
4
5
6
7
8
누계
명
수
2
7
4
2
4
7
20
13
0
22
340
101
48
57
87
328
223
487
232
1,984
2) 최근 일주일간 확진자 발생 현황
일자
8.6
8.7
8.8
8.9
8.10
8.11
8.12
일주일
발생 누계
최근 1주간 1일 확진자수
명수
13
5
11
12
28
23
44
136
19.43
3) 이달 감염경로 분류 * 외부 영향 : a + b
구분
합계
제주 확진자 접촉자
타지역·해외 입도객(b)
확인중
소계
도민
타지역
(a)
소계
국내
해외
입국
확진자(명)
232
154
141
13
39
35
4
39
비 율(%)
100.0
66.4
60.8
5.6
16.8
15.1
1.7
16.8
4) 연령대별 발생 현황
구분
계
0세
~9세
10세
~19세
20세
~29세
30세
~39세
40세
~49세
50세
~59세
60세
~69세
70세 ~
확진자(명)
232
11
34
55
37
31
31
11
22
비 율(%)
100
4.7
14.7
23.7
15.9
13.4
13.4
4.7
9.5
5) 8월 12일 확진자별 감염경로
연번
확진자 번호
감염경로
선행 확진자
1
#1941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2
#194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40,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3
#194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가족,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4
#194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71
5
#194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34
6
#1946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7
#194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가족,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8
#1948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9
#194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20
10
#1950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07, 제주시 음식점 3 관련
11
#1951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2
#195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3
#195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4
#195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5
#195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6
#1956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7
#195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8
#1958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9
#195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20
#1960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21
#1961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22
#196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23
#196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24
#196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880, 격리 중 유증상
25
#196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837
26
#1966
타 지역 방문
7.20.~8.10. 부산 방문
27
#1967
타 지역 방문
7.20.~8.10. 부산 방문
28
#1968
타 지역 방문
7.20.~8.10. 부산 방문
29
#1969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30
#1970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31
#1971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45
32
#197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76
33
#197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00
34
#1974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35
#1975
타 지역 확진자 접촉
부산#9477
36
#1976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33
37
#197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38
#1978
타 지역 확진자 접촉
부산#9477
39
#197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876 가족
40
#1980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34
41
#1981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42
#198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43
#198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17,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44
#198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44
제주지역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1) 인구 대비 접종률
(단위 : 명, %)
전 체
인구수1)
(A)
접종대상
인구수
(B)
접종목표(C)
(B * 70%)
접종자 수(D)
인구대비
(D/A*100)
접종대상대비
(D/B*100)
목표대비
(D/C*100)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674,635
575,116
402,580
284,825
115,679
42.2
17.1
49.5
20.1
70.7
28.7
1) 2020.12월말 제주도민 인구 수 ※ 제주도민(외국인포함) 인구수 697,578명 대비 접종률 1차 40.8%, 완료 16.6%
2) 이상반응 신고 현황
구분
소계
일반1)
특별관심이상반응
중증
의심사례
사망
사례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의심사례
전체
신규
29
29
-
-
-
-
누계
1,492
1,473
1
1
7
10
AZ
신규
3
3
-
-
-
-
누계
823
820
1
1
-
1
화이자
신규
21
21
-
-
-
-
누계
481
466
-
-
7
8
얀센
신규
-
-
-
-
-
-
누계
82
82
-
-
-
-
모더나
신규
5
5
-
-
-
-
누계
106
105
-
-
-
1
※ 관련 문의 :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총괄과 현승호 역학조사팀장 064) 710-4071
‘광복절 연휴 기간 동안 집에서 머무르기’ 대도민 캠페인
제주특별자치도는 14일부터 16일까지 ‘광복절 연휴 기간 집에서 머무르기’ 대도민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캠페인은 전국적으로 하루 2,0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광복절 연휴 기간(14~16일) 동안 피서객 등 이동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코로나19 지역감염 차단을 위해 마련됐다.
캠페인은 전 도민 대상 재난안전문자 발송, 노선버스 및 대형 전광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아파트 및 마을방송 등을 활용해 전개된다.
❍ 도는 캠페인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 외출 자제 등의 동참을 이끌어 낼 방침이다.
❍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와 모임 자제 등과 함께 마스크 착용, 제주안심코드 활용 등 코로나19 방역수칙에 대한 홍보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임태봉 제주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장은 “광복절 연휴 동안 가족과 이웃, 공동체 보호를 위해 여행과 외출을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면서 “부득이한 경우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 관련 문의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대응과 김양순 방역정책팀장 064) 710-4971
구만섭 도지사 권한대행, 사전 예측 통한 선제적 방역 점검 강조
- 13일 오전 재난안전상황실서 코로나19 코로나19 방역대책 긴급 전검회의 주재 -
- 광복절 연휴 기간 도민·관광객 대상 방역 수칙 준수 및 PCR 검사 등 홍보 주문 -
❏구만섭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권한대행이 과학적 분석을 통한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유형 사전 예측으로 선제적인 방역 점검을 강조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3일 오전 9시 30분 제주도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구만섭 권한대행 주재로 코로나19 방역대책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구만섭 권한대행은 이날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 관련 최근 변화하고 있는 확진자 발생 유형 원인 분석과 함께 도민 및 관광객 등의 이동 경향 예측을 통한 사전 방역 점검 활동을 강조했다.
❍ 구만섭 권한대행은 “그동안 도민 및 공직자 여러분께서 방역수칙 준수와 점검 활동을 열심히 해주셨지만, 확진자 발생 원인 파악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도민과 관광객들의 이동 경향을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방역 점검을 실시할 수 있도록 각 실국에서 신경 써달라”고 말했다.
❍ 이어 “최근 델타변이, 돌파감염 등으로 인해 방역 수칙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각 실국에서는 집단 감염이 발생할 소지가 있는 장소의 방역 수칙을 다시 한번 검토해서 대응 방향을 보완해달라”고 덧붙였다.
❍ 구만섭 권한대행은 특히 “광복절 연휴 기간 많은 관광객이 제주를 많이 찾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입도 전 PCR 검사 등 도민과 관광객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달라”며 “또한 다가오는 벌초 기간을 맞아 인원 제한 등 제주지역 실정에 맞는 대책을 수립해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 관련 문의 : 공보관 강희경 언론협력팀장 064) 710-204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