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제주 코로나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로나 알림이
작성일21-08-23 13:51
조회325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제주 코로나19 발생·예방접종 현황 (23일 0시 기준)
32명 확진 … 제주 확진자 접촉 27명, 서울 방문자 1명, 확인 중 4명
도, 20~22일 다중이용시설 1,028곳 점검 … 방역 위반 14건 적발
제주 코로나19 발생·예방접종 현황 (23일 0시 기준)
- 32명 확진 … 제주 확진자 접촉 27명, 서울 방문자 1명, 확인 중 4명 -
- 제주도 전체 인구대비 1차 접종률 49.7%(33만 5,078명)·완료율 22%(14만 8,462명) -
■ 제주특별자치도는 22일 하루 동안 총 3,739건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진단검사가 진행됐고, 이중 32명(제주 #2406~2437번)이 확진됐다고 밝혔다.
■ 신규 확진자 32명의 감염경로를 보면 ▲27명은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1명은 서울 방문자 ▲4명은 코로나19 유증상자다.
❍ 확진자들은 모두 제주도민이거나 도내 거주자다.
❍ 최초 검사에서 음성이었지만 격리 중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보이거나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된 사례는 8명이다.
❍ 신규 확진자 중 5명은 4개 중·고교 학생이다.
■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가운데 16명은 6개 집단감염 사례와 연관됐다.
❍ 2414·2417·2419번은 ‘제주시 노래연습장’ 관련 확진자다.
- 2417번은 확진자의 지인으로 접촉자로 분류돼 검사 결과, 확진됐다.
- 2414·2419번은 확진자와 동선이 겹쳐 격리를 해왔으며, 해제 전 검사에서 양성 판정받았다.
- 이에 따라 ‘제주시 노래연습장’ 관련 확진자는 90명이다.
❍ 2415번은‘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와 연관됐다.
- 2415번은 확진자의 지인으로 격리 해제 전 검사 결과, 확진됐다.
- 이로써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확진자는 37명으로 증가했다.
❍ 2428번은‘제주시 학원 2’와 관련 있다.
- 2428번은 확진자의 가족으로 격리 대상자로 분류돼 검사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 ‘제주시 학원 2’ 관련 확진자는 56명으로 늘었다.
❍ 2429번은‘제주시 음식점 3’과 관련 있다.
- 2429번은 확진자의 지인으로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됐다.
- ‘제주시 음식점 3’관련 확진자는 12명이다.
❍ 2435번은 ‘제주시 종합병원’관련 접촉자다.
- 2435번은 확진자의 가족으로 동반 격리 중 기침 등의 증상을 보여 재검사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 제주시 종합병원’ 관련 확진자는 12명으로 집계됐다.
❍ 2409·2410·2411·2413·2422·2424·2425·2427·2433번은 ‘제주시 대형마트’ 직장 동료다.
- 이들은 해당 마트 근무자다. 선행 확진자 발생에 따라 실시된 전수조사 결과, 확진됐다.
- 또한 개별 사례로 분류됐던 2393·2402·2403·2404번이 ‘제주시 대형마트’관련 확진자의 가족으로 확인됨에 따라 집단감염 사례에 포함됐다.
- 이에 따라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확진자는 18명(14명 마트 근무자, 4명 확진자의 가족)으로 증가했다.
- 23일 오전 11시 현재까지 해당 마트 이용객의 확진 사례는 없다.
■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 16명을 제외한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11명은 개별 사례다.
❍ 2407·2408·2418·2426·2430·2434·2436번은 확진자의 가족으로 가정 내 전파 사례다.
❍ 2412·2437번은 확진자의 지인이고, 2421·2423번은 확진자와 동선이 겹쳐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 1명(2420번)은 서울을 방문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2420번은 13일부터 16일까지 서울을 방문하고 입도 후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 검사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 나머지 2406·2416·2431·2432번은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나타나 자발적으로 검사 받은 결과, 확진됐다.
❍ 이들의 감염경로 확인을 위한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 제주도는 확진자를 격리 입원 조치하고, 자택 및 숙소 등에 대한 방역소독을 완료했다.
❍ 또한 확진자 진술, 신용카드 사용내역, 제주안심코드 등 출입자 명부 확인, 현장 폐쇄회로(CC)TV 분석 등을 통해 이동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하고 있다.
■ 한편, 23일 제주지역 확진자 중 1명이 사망했다.
❍ 제주지역에서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례는 지난 1월 이후 두 번째다.
❍ 해당 사망자는 집단발생이 있었던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이용자로 지난 10일 확진 판정받고, 제주대학교병원 중증환자 병상에서 치료받던 중 23일 오전 7시경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 23일 오전 11시 기준 제주지역 누적 확진자 수는 2,437명이다.
❍ 격리 중인 확진자는 470명, 격리 해제자는 1,967(사망 2명, 이관 25명 포함)이다.
❍ 도내 가용병상은 375병상이며, 자가 격리자 수는 3,463명(확진자 접촉자 3,172명, 해외 입국자 291명)이다.
■ 8월 들어 685명이 확진됐으며, 세부 현황은 다음의 표를 참고하면 된다.
1) 제주지역 월별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월
별
20.2
3
4
5
6
7
8
9
10
11
12
21.1
2
3
4
5
6
7
8
누계
명
수
2
7
4
2
4
7
20
13
0
22
340
101
48
57
87
328
223
487
685
2,437
2) 최근 일주일간 확진자 발생 현황
일자
8.16
8.17
8.18
8.19
8.20
8.21
8.22
일주일
발생 누계
최근 1주간 1일 확진자수
명수
37
46
37
56
52
35
32
295
42.14
3) 이달 감염경로 분류 * 외부 영향 : a + b
구분
합계
제주 확진자 접촉자
타지역·해외 입도객(b)
확인중
소계
도민
타지역
(a)
소계
국내
해외
입국
확진자(명)
685
488
470
18
75
66
9
122
비 율(%)
100.0
71.2
68.6
2.6
10.9
9.6
1.3
17.8
4) 연령대별 발생 현황
구분
계
0세
~9세
10세
~19세
20세
~29세
30세
~39세
40세
~49세
50세
~59세
60세
~69세
70세 ~
확진자(명)
685
39
173
155
86
90
70
38
34
비 율(%)
100.0
5.7
25.3
22.6
12.6
13.1
10.2
5.5
5.0
5) 확진자 별 세부 감염경로
연번
확진자 번호
감염경로
선행 확진자
1
#2406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2
#240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99
3
#2408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99
4
#240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5
#2410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6
#2411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7
#241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213, 격리 중 증상발현
8
#241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9
#241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34, 격리해제 전, 제주시 노래연습장 관련
10
#241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40, 격리해제 전,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1
#2416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12
#241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74, 제주시 노래연습장 관련
13
#2418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88
14
#241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45, 격리해제 전, 제주시 노래연습장 관련
15
#2420
타 지역 방문
서울 방문
16
#2421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281
17
#242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18
#242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196, 격리 중 유증상
19
#242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20
#242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21
#2426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80
22
#242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23
#2428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95, 제주시 학원 2 관련
24
#242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07, 격리해제 전, 제주시 음식점 3 관련
25
#2430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135
26
#2431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27
#2432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28
#243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29
#243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239, 격리 중 유증상
30
#243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296, 격리 중 유증상, 제주시 종합병원 관련
31
#2436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400
32
#243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75, 격리 중 유증상
제주지역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 23일 0시 기준 제주지역 누적 1차 접종자는 총 33만 5,078명이며, 접종 완료자는 14만 8,462명이다.
■ 22일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돼 신고된 사례는 총 7건이다.
❍ 6건은 예방접종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발열 등 비교적 경미한 증상으로 확인됐다.
❍ 1건은 사망사례로 신고 돼 도내 누적 사망 신고건수는 총 12명으로 늘었으며, 이중 8건은 질병관리청 확인 결과 백신과의 인과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 22일 신고 된 사망자는 20대로 기저질환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 지난 2일 화이자 1차 접종을 완료했으며, 22일 오전 가슴통증을 호소한 후 상태가 악화돼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 방역당국은 백신 접종과의 인과성 여부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 백신과의 연관성 여부는 질병관리청의 공식 확인 절차를 거쳐 최종 발표될 예정이다.
1) 인구 대비 접종률
(단위 : 명, %)
전 체
인구수1)
(A)
접종대상
인구수
(B)
접종목표(C)
(B * 70%)
접종자 수(D)
인구대비
(D/A*100)
접종대상대비
(D/B*100)
목표대비
(D/C*100)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674,635
575,116
402,580
335,078
148,462
49.7
22.0
58.3
25.8
83.2
36.9
1) 2020.12월말 제주도민 인구 수 ※ 제주도민(외국인포함) 인구수 697,578명 대비 접종률 1차 48%, 완료 21.3%
2) 이상반응 신고 현황
구분
소계
일반1)
특별관심이상반응
중증
의심사례
사망
사례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의심사례
전체
신규
7
6
-
-
-
1
누계
1,713
1,692
1
1
7
12
AZ
신규
-
-
-
-
-
-
누계
870
866
1
1
-
2
화이자
신규
6
5
-
-
-
1
누계
603
587
-
-
7
9
얀센
신규
-
-
-
-
-
-
누계
82
82
-
-
-
-
모더나
신규
1
1
-
-
-
-
누계
158
157
-
-
-
1
※ 관련 문의 :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총괄과 현승호 역학조사팀장 064) 710-4071
도, 20~22일 다중이용시설 1,028곳 점검 … 방역 위반 14건 적발
- 집합금지 위반 홀덤펌 1곳 형사 고발 방침 … 13건 행정지도 -
■ 제주특별자치도는 20일부터 22일까지 다중이용시설 1,028곳을 대상으로 방역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점검을 벌여 14건(행정처분 1, 행정지도 13)의 위반사항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 제주도는 집합금지를 위반한 홀덤펌 1곳을 적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사기관에 고발할 방침이다.
❍ 또한 △마스크 미착용 5건(교회 3건, 농어촌민박 2건)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집합금지 위반 2건(일반음식점 2건) △거리두기 미흡 2건(교회 2건) △출입자명부 관리 부실 2건(농어촌민박 2건) △손소독제 미비치 1건(농어촌민박)을 적발해 행정지도 명령을 내렸다.
■ 제주도는 29일 자정까지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시행됨에 따라 양 행정시, 자치경찰단, 읍면동 등과 합동으로 다중이용시설 등에 대해 집중 점검하고 있다.
❍ 주요 점검 사항은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사적 모임* △마스크착용 및 출입자 명부 작성 △유흥시설 5종 및 노래연습장 운영 △다중이용시설 운영 시간 준수 등이다.
※ 23일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 완료자 2명 포함 최대 4명까지 사적모임 허용
■ 방역 수칙 위반행위는 계도 없이 즉각 행정처분을 내리는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 엄정 조치할 계획이다.
❍ 이를 위반한 영업장 관리자ㆍ운영자에게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따라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또는 형사 고발되며, 시설 이용자에게는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 특히, 위반 정도가 중대하고 집단감염의 원인을 제공한 경우 방역조치 비용 및 확진자 진료비 등에 대해 손해배상청구권을 적극 행사할 방침이다.
※ 관련 문의 : 도민안전실 재난대응과 문경종 사회재난팀장 064) 710-3631
32명 확진 … 제주 확진자 접촉 27명, 서울 방문자 1명, 확인 중 4명
도, 20~22일 다중이용시설 1,028곳 점검 … 방역 위반 14건 적발
제주 코로나19 발생·예방접종 현황 (23일 0시 기준)
- 32명 확진 … 제주 확진자 접촉 27명, 서울 방문자 1명, 확인 중 4명 -
- 제주도 전체 인구대비 1차 접종률 49.7%(33만 5,078명)·완료율 22%(14만 8,462명) -
■ 제주특별자치도는 22일 하루 동안 총 3,739건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진단검사가 진행됐고, 이중 32명(제주 #2406~2437번)이 확진됐다고 밝혔다.
■ 신규 확진자 32명의 감염경로를 보면 ▲27명은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1명은 서울 방문자 ▲4명은 코로나19 유증상자다.
❍ 확진자들은 모두 제주도민이거나 도내 거주자다.
❍ 최초 검사에서 음성이었지만 격리 중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보이거나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된 사례는 8명이다.
❍ 신규 확진자 중 5명은 4개 중·고교 학생이다.
■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가운데 16명은 6개 집단감염 사례와 연관됐다.
❍ 2414·2417·2419번은 ‘제주시 노래연습장’ 관련 확진자다.
- 2417번은 확진자의 지인으로 접촉자로 분류돼 검사 결과, 확진됐다.
- 2414·2419번은 확진자와 동선이 겹쳐 격리를 해왔으며, 해제 전 검사에서 양성 판정받았다.
- 이에 따라 ‘제주시 노래연습장’ 관련 확진자는 90명이다.
❍ 2415번은‘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와 연관됐다.
- 2415번은 확진자의 지인으로 격리 해제 전 검사 결과, 확진됐다.
- 이로써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확진자는 37명으로 증가했다.
❍ 2428번은‘제주시 학원 2’와 관련 있다.
- 2428번은 확진자의 가족으로 격리 대상자로 분류돼 검사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 ‘제주시 학원 2’ 관련 확진자는 56명으로 늘었다.
❍ 2429번은‘제주시 음식점 3’과 관련 있다.
- 2429번은 확진자의 지인으로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됐다.
- ‘제주시 음식점 3’관련 확진자는 12명이다.
❍ 2435번은 ‘제주시 종합병원’관련 접촉자다.
- 2435번은 확진자의 가족으로 동반 격리 중 기침 등의 증상을 보여 재검사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 제주시 종합병원’ 관련 확진자는 12명으로 집계됐다.
❍ 2409·2410·2411·2413·2422·2424·2425·2427·2433번은 ‘제주시 대형마트’ 직장 동료다.
- 이들은 해당 마트 근무자다. 선행 확진자 발생에 따라 실시된 전수조사 결과, 확진됐다.
- 또한 개별 사례로 분류됐던 2393·2402·2403·2404번이 ‘제주시 대형마트’관련 확진자의 가족으로 확인됨에 따라 집단감염 사례에 포함됐다.
- 이에 따라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확진자는 18명(14명 마트 근무자, 4명 확진자의 가족)으로 증가했다.
- 23일 오전 11시 현재까지 해당 마트 이용객의 확진 사례는 없다.
■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 16명을 제외한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11명은 개별 사례다.
❍ 2407·2408·2418·2426·2430·2434·2436번은 확진자의 가족으로 가정 내 전파 사례다.
❍ 2412·2437번은 확진자의 지인이고, 2421·2423번은 확진자와 동선이 겹쳐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 1명(2420번)은 서울을 방문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2420번은 13일부터 16일까지 서울을 방문하고 입도 후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 검사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 나머지 2406·2416·2431·2432번은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나타나 자발적으로 검사 받은 결과, 확진됐다.
❍ 이들의 감염경로 확인을 위한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 제주도는 확진자를 격리 입원 조치하고, 자택 및 숙소 등에 대한 방역소독을 완료했다.
❍ 또한 확진자 진술, 신용카드 사용내역, 제주안심코드 등 출입자 명부 확인, 현장 폐쇄회로(CC)TV 분석 등을 통해 이동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하고 있다.
■ 한편, 23일 제주지역 확진자 중 1명이 사망했다.
❍ 제주지역에서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례는 지난 1월 이후 두 번째다.
❍ 해당 사망자는 집단발생이 있었던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이용자로 지난 10일 확진 판정받고, 제주대학교병원 중증환자 병상에서 치료받던 중 23일 오전 7시경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 23일 오전 11시 기준 제주지역 누적 확진자 수는 2,437명이다.
❍ 격리 중인 확진자는 470명, 격리 해제자는 1,967(사망 2명, 이관 25명 포함)이다.
❍ 도내 가용병상은 375병상이며, 자가 격리자 수는 3,463명(확진자 접촉자 3,172명, 해외 입국자 291명)이다.
■ 8월 들어 685명이 확진됐으며, 세부 현황은 다음의 표를 참고하면 된다.
1) 제주지역 월별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월
별
20.2
3
4
5
6
7
8
9
10
11
12
21.1
2
3
4
5
6
7
8
누계
명
수
2
7
4
2
4
7
20
13
0
22
340
101
48
57
87
328
223
487
685
2,437
2) 최근 일주일간 확진자 발생 현황
일자
8.16
8.17
8.18
8.19
8.20
8.21
8.22
일주일
발생 누계
최근 1주간 1일 확진자수
명수
37
46
37
56
52
35
32
295
42.14
3) 이달 감염경로 분류 * 외부 영향 : a + b
구분
합계
제주 확진자 접촉자
타지역·해외 입도객(b)
확인중
소계
도민
타지역
(a)
소계
국내
해외
입국
확진자(명)
685
488
470
18
75
66
9
122
비 율(%)
100.0
71.2
68.6
2.6
10.9
9.6
1.3
17.8
4) 연령대별 발생 현황
구분
계
0세
~9세
10세
~19세
20세
~29세
30세
~39세
40세
~49세
50세
~59세
60세
~69세
70세 ~
확진자(명)
685
39
173
155
86
90
70
38
34
비 율(%)
100.0
5.7
25.3
22.6
12.6
13.1
10.2
5.5
5.0
5) 확진자 별 세부 감염경로
연번
확진자 번호
감염경로
선행 확진자
1
#2406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2
#240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99
3
#2408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99
4
#240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5
#2410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6
#2411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7
#241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213, 격리 중 증상발현
8
#241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9
#241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34, 격리해제 전, 제주시 노래연습장 관련
10
#241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40, 격리해제 전, 제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관련
11
#2416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12
#241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74, 제주시 노래연습장 관련
13
#2418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88
14
#241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45, 격리해제 전, 제주시 노래연습장 관련
15
#2420
타 지역 방문
서울 방문
16
#2421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281
17
#2422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18
#242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196, 격리 중 유증상
19
#242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20
#242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21
#2426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80
22
#242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23
#2428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95, 제주시 학원 2 관련
24
#2429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07, 격리해제 전, 제주시 음식점 3 관련
25
#2430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135
26
#2431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27
#2432
감염경로 확인 중
유증상 검사
28
#2433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343, 제주시 대형마트 관련
29
#2434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239, 격리 중 유증상
30
#2435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296, 격리 중 유증상, 제주시 종합병원 관련
31
#2436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2400
32
#2437
도내 확진자 접촉
제주#1975, 격리 중 유증상
제주지역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 23일 0시 기준 제주지역 누적 1차 접종자는 총 33만 5,078명이며, 접종 완료자는 14만 8,462명이다.
■ 22일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돼 신고된 사례는 총 7건이다.
❍ 6건은 예방접종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발열 등 비교적 경미한 증상으로 확인됐다.
❍ 1건은 사망사례로 신고 돼 도내 누적 사망 신고건수는 총 12명으로 늘었으며, 이중 8건은 질병관리청 확인 결과 백신과의 인과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 22일 신고 된 사망자는 20대로 기저질환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 지난 2일 화이자 1차 접종을 완료했으며, 22일 오전 가슴통증을 호소한 후 상태가 악화돼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 방역당국은 백신 접종과의 인과성 여부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 백신과의 연관성 여부는 질병관리청의 공식 확인 절차를 거쳐 최종 발표될 예정이다.
1) 인구 대비 접종률
(단위 : 명, %)
전 체
인구수1)
(A)
접종대상
인구수
(B)
접종목표(C)
(B * 70%)
접종자 수(D)
인구대비
(D/A*100)
접종대상대비
(D/B*100)
목표대비
(D/C*100)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674,635
575,116
402,580
335,078
148,462
49.7
22.0
58.3
25.8
83.2
36.9
1) 2020.12월말 제주도민 인구 수 ※ 제주도민(외국인포함) 인구수 697,578명 대비 접종률 1차 48%, 완료 21.3%
2) 이상반응 신고 현황
구분
소계
일반1)
특별관심이상반응
중증
의심사례
사망
사례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의심사례
전체
신규
7
6
-
-
-
1
누계
1,713
1,692
1
1
7
12
AZ
신규
-
-
-
-
-
-
누계
870
866
1
1
-
2
화이자
신규
6
5
-
-
-
1
누계
603
587
-
-
7
9
얀센
신규
-
-
-
-
-
-
누계
82
82
-
-
-
-
모더나
신규
1
1
-
-
-
-
누계
158
157
-
-
-
1
※ 관련 문의 :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총괄과 현승호 역학조사팀장 064) 710-4071
도, 20~22일 다중이용시설 1,028곳 점검 … 방역 위반 14건 적발
- 집합금지 위반 홀덤펌 1곳 형사 고발 방침 … 13건 행정지도 -
■ 제주특별자치도는 20일부터 22일까지 다중이용시설 1,028곳을 대상으로 방역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점검을 벌여 14건(행정처분 1, 행정지도 13)의 위반사항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 제주도는 집합금지를 위반한 홀덤펌 1곳을 적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사기관에 고발할 방침이다.
❍ 또한 △마스크 미착용 5건(교회 3건, 농어촌민박 2건)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집합금지 위반 2건(일반음식점 2건) △거리두기 미흡 2건(교회 2건) △출입자명부 관리 부실 2건(농어촌민박 2건) △손소독제 미비치 1건(농어촌민박)을 적발해 행정지도 명령을 내렸다.
■ 제주도는 29일 자정까지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시행됨에 따라 양 행정시, 자치경찰단, 읍면동 등과 합동으로 다중이용시설 등에 대해 집중 점검하고 있다.
❍ 주요 점검 사항은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사적 모임* △마스크착용 및 출입자 명부 작성 △유흥시설 5종 및 노래연습장 운영 △다중이용시설 운영 시간 준수 등이다.
※ 23일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 완료자 2명 포함 최대 4명까지 사적모임 허용
■ 방역 수칙 위반행위는 계도 없이 즉각 행정처분을 내리는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 엄정 조치할 계획이다.
❍ 이를 위반한 영업장 관리자ㆍ운영자에게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따라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또는 형사 고발되며, 시설 이용자에게는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 특히, 위반 정도가 중대하고 집단감염의 원인을 제공한 경우 방역조치 비용 및 확진자 진료비 등에 대해 손해배상청구권을 적극 행사할 방침이다.
※ 관련 문의 : 도민안전실 재난대응과 문경종 사회재난팀장 064) 710-36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