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13일 제주 코로나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로나 알림이
작성일21-07-13 14:25 조회331회 댓글0건

본문

[종합] 12일 제주서 19명 확진… 델타 변이 감염자 6명 발견
제주지역 변이 감염자 누적 122명, 역학적 연관성 고려 시 266명 추가 감염 추정
도내 확진자 접촉자 11명, 수도권 확진자 접촉자·입도객 6명, 감염원 파악 중 2명

■ 최근 일주일간(7.6~7.12) 제주지역에서 전파력이 강한 델타(δ, 인도 유래)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 6명이 추가로 발견됐다.

 

■ 제주특별자치도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 중 6명으로부터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 앞서 확인된 검출자를 포함하면 13일 0시 기준 제주지역 주요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는 총 122명으로 늘어났다.

 

❍ 변이 바이러스가 추가로 확인된 6명 중 3명은 개별 사례다.

 

❍ 다른 3명은 수도권 등 타지역 지역 집단 발생 사례(마포구 음식점/경기도 영어학원 관련 1명, 대전 노래방 관련 2명)와 연관됐다. 이들 3명은 관광을 위해 제주를 방문했다가 타 지역 확진자의 접촉자로 통보받거나 유증상이 나타나 확진된 것으로 조사됐다.

 

■ 도내 변이 감염자 122명 중 바이러스 유형별로 살펴보면 111명은 알파 변이(α, 영국 유래), 1명은 베타(β, 남아프리카공화국 유래) 변이, 10명은 델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다.

 

❍ 해외 입국자 3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119명은 모두 국내 감염으로 추정 중이다.

 

❍ 국내 감염으로 조사된 119명 중 60명은 개별 사례에서 발생했으며, 59명은 13개 집단 감염 관련자들이다.

 

■ 직접적으로 변이 분석을 하지 않았지만, 기존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로부터 감염이 되거나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를 감염시키는 등 역학적 연관성이 확인된 감염자는 총 144명이다.

 

❍ 이 중 알파 변이 관련자는 139명, 델타 변이 관련자는 5명이다. 베타 변이 바이러스는 전파 사례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 변이 바이러스 검출이 확인된 확진자와 역학적 연관성까지 모두 고려할 때 제주지역에서 주요 변이에 감염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확진자는 266명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알파 변이 94.0%(250명), 베타 변이 0.4%(1명), 델타 변이 5.6%(15명)를 차지한다.

 

❍ 도 방역당국이 변이 바이러스 분석을 시작한 올해 2월 1일부터 최근 감염자를 확인한 7월 12일까지 제주지역 신규 확진자 890명과 비교할 때 29.9%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인 셈이다.

 

제주지역 전일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현황

 

■ 지난 12일 하루 동안 제주에서는 총 2,097건의 코로나19 진단 검사가 진행됐고, 이 중 19명(제주 #1394~#1412번)이 양성으로 확인됐다.

 

■ 13일 오전 11시 현재 도내 누적 확진자 수는 총 1,412명으로 집계됐다.

 

❍ 지난 6일부터 12일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19명→17명→31명→10명→24명→7명→19명을 기록해, 127명의 확진자가 더 추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18.14명이다.

 

❍ 제주에서는 이달 14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올 들어 현재까지 991명이 확진됐다.

 

■ 7월 확진자 147명 중 제주도민 혹은 도내 거주자는 86명(58.5%)이고, 나머지 61명(41.5%)은 수도권 등 다른 지역 거주자다.

 

❍ 확진자 성별 비율은 남성이 63.3%(93명)로 여성 36.7%(54명)보다 높다.

 

❍ 연령대별로 30대가 22.4%(31명)로 가장 많으며, 20대 21.1%(31명), 40대가 각 16.3%(24명)로 그 뒤를 이었다.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12.2%(18명)다.

 

■ 이달 신규 확진자 중 39.5%(58명)은 제주가 아닌 다른 지역을 방문한 이력이 있거나, 타 지역 확진자와 접촉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들 가운데 4명은 해외 입국자다.

 

❍ 48.3%(71명)는 제주지역 확진자와 접촉해 추가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 하지만 이 가운데 14명은 관광 등의 사유로 제주를 방문한 입도객의 가족이나 함께 여행에 나섰던 지인 등으로 파악됐다.

 

- 이로써 7월 신규 확진자 147명 가운데 타 지역을 방문하거나 타 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확진된 사례는 72명(타지역 방문 이력자·타지역 확진자 접촉자 58명+14명)으로 전체의 48.9%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코로나19 증상이 발생하거나, 본인의 의사에 의해서 진단검사를 실시한 뒤 확진되는 경우는 12.2%(18명)이며, 현재 감염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역학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 이날 양성으로 확인된 19명 중 ▲11명(제주 #1394, 1396, 1398, 1400~1403, 1409~1412번)은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6명(제주 #1395, 1404~1408번)은 수도권 확진자 접촉자 또는 입도객이다. 나머지 ▲2명(제주 #1397, 1399번)은 코로나19 유증상자다.

 

❍ 확진자 19명 가운데 6명(제주 #1395, 1404~1408번)은 격리 중 확진 판정을 받았다.

 

■ 또한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로 분류된 11명 중 3명(제주 #1398, 1401, 1403번)은 지난 8일 동선을 공개한 제주시 연동소재 워터파크 유흥업소 관련 확진자다.

 

❍ 1398번 확진자와 1401번 확진자는 제주 1312번 확진자의 접촉자로 확인됐으며, 1403번 확진자는 관련 방문 이력이 있어 검사를 받고 확진됐다.

 

❍ 이로써 제주시 연동 워터파크 관련 확진자는 총 24명으로 늘었다.

 

❍ 이날 서귀포시 소재 해바라기 가요주점과 관련된 확진자는 발생하지 않아, 13일 오전 11시 현재 총 17명을 유지하고 있다.

 

■ 확진자의 가족이거나 지인으로 추가 감염이 이어지는 사례는 지속 발생 중이다.

 

❍ 제주 1394번은 이날 확진된 1395번과 접촉한 이력이 있어 같이 검사를 받은 결과 최종 확진됐으며, 현재까지 증상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 제주 1396번·1397번 확진자는 가족이다.

 

- 1396번 확진자는 무증상이지만 1397번이 발열, 인후통 등의 증상을 보이자 같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실시한 결과 나란히 확진됐다.

 

- 현재 1397번 확진자의 감염원은 확인 중이다.

 

❍ 제주 1409번·1410번·1411번·1412번 확진자는 이달 7일 확진된 1317번 확진자의 가족으로 격리 중 확진 판정을 받았다.

 

- 앞서 1317번 확진자는 가족 여행을 위해 7일 제주를 방문했으며 입도 당일 서울 영등포구 확진자의 접촉자로 통보돼 검사를 받고 최종 확진됐다.

 

- 함께 입도한 가족들은 시설 격리를 하던 중 인후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 재검사를 실시,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에 따라 제주 여행에 나섰던 가족 모두가 차례로 확진된 것으로 확인됐다.

 

■ 제주 여행을 위해 입도 후 확진자의 접촉자로 통보받고 확진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 제주 1395번·1404번·1405번·1406번·1407번·1408번은 모두 수도권 확진자의 접촉자다.

 

- 1395번 확진자는 6일 서울시 강남구 확진자와 접촉한 이력이 있다. 현재까지 코로나19 관련 증상은 보이지 않고 있지만 강남구 확진자의 확진 소식을 듣고 검사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 1404번 확진자는 5일 여행을 위해 입도했으나 서울시 성북구 확진자의 접촉자로 통보돼 시설 격리를 해왔다. 격리 중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 재검사 결과 최종 양성으로 확인됐다.

 

- 1405번은 11일 여행을 위해 일행 1명과 입도했다. 입도 후 확진자와 동선이 겹친다는 소식을 듣고 검사를 진행한 결과 최종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함께 입도한 일행은 검사가 진행 중이다.

 

- 1406번 확진자도 6일 관광을 위해 제주로 왔다. 이후 경기도 성남시 4507번의 확진 소식을 듣고 검사를 진행한 결과 최종 확진됐다.

 

- 1407번은 여행을 하기 위해 3명의 가족과 함께 10일 제주를 방문했다. 코로나19 증상 발현은 없었으나 입도 후 직장 내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듣고 검사를 진행한 결과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함께 입도한 일행 3명은 음성으로 확인돼 시설에서 격리중이다.

 

- 1408번은 지난 11일 가족 여행을 위해 입도했다. 이후 사무실 내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듣고 검사를 받은 결과 최종 확진됐다. 현재 발열, 인후통 등의 증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같이 입도한 가족 2명은 검사가 진행 중이다.

 

■ 제주 1397번·1399번 확진자는 코로나19 관련 유증상이 있어 자발적으로 검사를 받았으며, 감염 경로는 현재 역학조사 중이다.

 

❍ 이로써 감염원을 파악 중인 확진자는 총 18명으로 늘었다.

 

■ 제주도는 이들 확진자를 격리 입원 조치하는 한편 자택 및 숙소 등에 대한 방역소독 조치를 완료했다.

 

❍ 현재 확진자 진술, 신용카드 사용내역, 제주안심코드 등 출입자 명부 확인, 현장 폐쇄회로(CC)TV 분석 등을 통해 이동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하고 있다.

 

■ 13일 오전 11시 현재 제주에서 격리 중인 확진자는 122명이며, 부산시 이관 19명, 격리 해제자는 1,271명(사망 1명, 이관 3명 포함)이다.

 

❍ 도내 가용 병상은 221병상이며, 자가 격리자 수는 총 971명(확진자 접촉자 657명, 해외입국자 314명)이다.

 

확진자 이동동선 공개

 

■ 현재 제주지역에서는 ▲제주시 연동 괌 유흥주점(확진자 노출일시: (확진자 노출일시: 7월 6일 오후 9시 ~ 다음날 오전 6시 30분) 방문자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 또한 제주도는 연동 소재 파티24 유흥주점과 제주시 이도이동 소재 디케이 일반음식점에서 확진자가 추가로 발생함에 따라 관련 동선을 공개하는 한편, 해당 장소를 방문한 사람에 대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당부했다.

 

❍ 파티24 유흥주점에는 지난 8일 오전 1시부터 7시까지 확진자가 방문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 디케이 일반음식점에는 6일과 9일 오후 7시 30분부터 다음날 오전 3시 30분까지 머물렀던 것으로 확인됐다.

 

[ 이동 경로 ]

장소 유형

상호명

노출일시

주소

소독여부

유흥주점

파티24

7월 8일(목) 오전 1시 ~ 오전 7시

제주시 신대로 지하 45(연동)

소독완료

일반음식점

디케이

7월 6일(화)・7월 9일(금)

오후 7시 30분 ~ 다음날 오전 3시 30분

제주시 광양 10길 지하 13(이도이동)

소독완료

※ 환자진술, CCTV 기록, 카드사용내역 수신 메시지 등으로 이동경로 확인.

※ 추가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이동경로 및 접촉자 대상은 변경될 수 있음.

※ 접촉자 및 전파 위험 없는 장소는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지침에 따라 동선에서 제외함.

 

❍ 이에 따라 확진자 노출시간에 관련 장소들을 방문한 이들은 코로나19 증상 발현에 관계없이 가까운 보건소에 전화 상담 후 진단검사를 받으면 된다.

 

❍ 해당 장소들은 모두 방역 소독 조치가 완료됐다.

 

❍ 한편 도내 확진자 관련 동선 정보는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코로나19 현황보기(https://covid19.jeju.go.kr/info.jsp#)’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한 만큼 관련 방문자들은 코로나19 증상 발현에 관계없이 가까운 보건소에 전화 상담 후 진단검사를 받으면 된다.

 

제주지역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 지난 12일에는 총 1,464명(1차 407명 / 완료 1,057명)에 대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이뤄졌다.

 

■ 13일 0시 기준 제주지역 1차 접종자는 총 20만 619명이고, 접종 완료자는 7만 6,007명이다.

(단위 : 명, %)

전 체

인구수1)

(A)

접종대상

인구수

(B)

접종목표(C)

(B * 70%)

접종자 수(D)

인구대비

(D/A*100)

접종대상대비

(D/B*100)

목표대비

(D/C*100)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674,635

575,116

402,580

200,619

76,007

29.7

11.3

34.9

13.2

49.8

18.9

1) 2020.12월말 제주도민 인구 수 ※ 제주도민(외국인포함) 인구수 697,578명 대비 접종률 1차 28.8%, 완료 10.9%

 

❍ 제주도민 전체 인구수 대비 1차 접종자는 29.7%, 완료자는 11.3%이다.

 

❍ 접종 목표와 비교할 때 제주에서는 49.8%가 1차 접종을 진행했고, 18.9%가 접종을 마쳤다.

 

■ 이날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돼 신고된 사례는 11건으로 모두 예방접종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두통과 발열 등의 경미한 증상으로 확인됐다.

 

❍ 현재까지 제주지역 이상반응 신고 접수는 총 1,062건(아스트라제네카 785건·화이자 197·얀센 75건·모더나 5건)이다.

 

※ 관련 문의 :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총괄과 현승호 역학조사팀장 064) 710-407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