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제주 코로나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로나 알림이
작성일21-07-28 12:49
조회333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종합] 27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23명 발생
14명 제주 확진자 접촉자, 3명 입도객·타 지역 접촉자 등 외부 요인, 6명 유증상자
30일부터 드림타워 등 대규모점포 출입명부 관리 의무화
[종합] 27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23명 발생
- 14명 제주 확진자 접촉자, 3명 입도객·타 지역 접촉자 등 외부 요인, 6명 유증상자 -
- 제주시 게스트하우스 관련 집단사례 추가… 파티 통해 3곳서 총 15명 확진자 발생 -
- 제주도민 중 1차 접종자 23만 882명·완료 9만 560명… 목표대비 1차 57.4% 달성 -
제주특별자치도는 27일 하루 동안 총 2,397명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진단검사가 진행됐고, 이중 23명(제주 #1642~1664번)이 확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23명의 감염경로를 보면 ▲14명은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제주 #1642~1644, 1648~1653, 1656, 1657, 1659, 1660, 1633번) ▲3명 입도객 또는 타 지역 확진자 접촉자(제주 #1647, 1654, 1662번)다.
이외 ▲6명은 코로나19 유증상자(제주 #1645, 1646, 1655, 1658, 1661, 1664번)로, 감염원을 파악하기 위한 역학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 이날 확진자 23명 중 7명(제주 #1652, 1653, 1654, 1658, 1659, 1660, 1662번)은 타 지역 거주자이며, 나머지 16명은 제주지역 거주자다.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14명 가운데 3명(제주#1643, 1644, 1651번)은 격리 중 확진됐는데 이중 1명은 ‘제주시 유흥주점 3’집단감염 사례(제주 #1651번)와 연관됐다.
❍ 1651번은 제주 1443번의 접촉자로 ‘제주시 유흥주점3’관련이 있다.
- 코로나19 증상은 없으며,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됐다.
- 1651번이 추가 확진됨에 따라 ‘제주시 유흥주점3’ 관련 확진자는 25명으로 늘었다.
❍ 다른 2명(1643·1644번)은 가족 간 전파로 조사됐다.
- 1643번은 제주 1507번의 가족으로 격리 중 몸살 기운을 보여 재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됐다.
- 1644번은 제주 1413번의 가족으로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됐다.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로 파악된 나머지 11명 중 1명(제주 #1657번)은 가족 간 감염이며, 10명(제주 #1642, 1648~1650, 1653, 1656, 1657, 1659, 1660, 1633번)은 선행 확진자와의 만남 등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1657번은 제주 1638번의 가족으로 접촉자로 분류돼 검사 결과, 양성 판정됐다.
❍ 1642번은 제주 1584번의 접촉자, 1648번은 제주 1570번의 접촉자, 1649·1650번은 제주 1627번의 접촉자, 1652·1656번은 1634번의 접촉자, 1653번은 제주 1634번․1652번의 접촉자, 1659·1660번은 제주 1658번의 접촉자, 1663번은 제주 1618번 확진자의 접촉자로, 선행 확진자와 동일한 공간을 이용하며 동선이 다수 겹쳤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날 수도권 입도 또는 타 지역 방문 이력 등 외부요인으로 확진된 사례는 3명(제주 #1647, 1654, 1662번)이다.
❍ 1647번은 제주도민으로 21일부터 23일까지 업무차 부산에 체류하는 동안 경남지역 확진자와 접촉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 1654번은 26일 여행 목적으로 입도한 후 다음날(27일)부터 발열 등의 증상을 보여 검사 받은 결과, 확진됐다.
❍ 1662번은 업무차 26일 입도했는데 다음날(27일) 서울시 확진자의 접촉자로 통보돼 검사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제주 1645·1646·1655·1658·1661·1664번 확진자는 코로나19 관련 유증상이 나타나 자발적으로 검사 받은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 방역당국은 이들 6명의 감염원을 파악하기 위해 역학조사 중이다.
제주도는 확진자를 격리 입원 조치하고, 자택 및 숙소 등에 대한 방역소독을 완료했다.
❍ 또한 확진자 진술, 신용카드 사용내역, 제주안심코드 등 출입자 명부 확인, 현장 폐쇄회로(CC)TV 분석 등을 통해 이동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하고 있다.
한편, 제주시 소재 게스트하우스를 중심으로 이용자·종사자 등 총 10명이 확진되면서 집단사례가 추가 발생했다.
❍ 게스트하우스 집단사례와 관련 최초 확진자는 경기도 평택시 1666번 확진자와 경기도 오산시 597번 확진자로 조사됐다.
- 평택시 1666번과 오산시 597번은 지난 16일과 17일 제주시 구좌읍 소재 ㄱ게스트하우스를 이용했다.
- 당시 게스트하우스 내 이용자들이 공용공간을 함께 이용하면서 투숙객 2명과 관계자 6명이 잇달아 확진 판정받았다.
- ㄱ게스트하우스와 관련 현재까지 총 10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진자 10명 중 7명은 제주지역 확진자이며, 3명은 타 지역 확진자다.
- 또한 ㄱ게스트하우스 스태프 8명 등 이용객 46명에 대한 격리 조치가 진행됐다.
❍ 현재 집단사례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게스트하우스 내 투숙객이 다른 게스트하우스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추가 감염이 이뤄지는 사례도 발생했다.
- 광주광역시 3239번은 관광차 입도 후 20일 제주시 애월읍 소재 ‘ㄴ’게스트하우스에 머물렀다.
- 이 과정에서 접촉한 제주 1624번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됐다.
- ‘ㄴ’게스트하우스에 체류했던 제주 1624번은 이후 제주시 조천읍 소재 ‘ㄷ’게스트하우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투숙객 및 관련자 등 3명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두 곳의 게스트하우스와 관련 확진자는 5명이다.
5명 중 2명은 제주지역 확진자이며, 3명은 타 지역 확진자로 확인됐다.
- 현재 관련 게스트하우스 관계자 및 투숙객 21명은 자가 격리 조치가 이뤄졌다.
❍ 확진자 대부분은 20대로 파악됐다.
투숙 과정에서 숙식을 함께하고, 대화 등 비말 발생이 많은 활동을 통해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 방역당국은 게스트하우스 내 불법 파티 등 방역수칙 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위반 시 처벌할 방침이다.
28일 오전 11시 현재 도내 누적 확진자 수는 총 1,664명이다.
❍ 제주에서 격리 중인 확진자는 191명(성동구 확진자 1명 포함), 부산시 이관 2명, 대전시 이관 1명이다. 격리 해제자는 1,471명(사망 1명, 이관 20명 포함)이다.
❍ 도내 가용병상은 152병상이며, 자가 격리자 수는 총 1,734명(확진자 접촉자 1,181명, 해외입국자 553명)이다.
7월 들어 제주에서는 총 399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확진자 별 세부 현황은 다음의 표를 참고하면 된다.
❍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19.41명이며,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1.093으로 여전히 유행 확산 상태를 보이고 있다.
1) 제주지역 월별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월별
2
3
4
5
6
7
8
9
10
11
12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누계
명수
2
7
4
2
4
7
20
13
0
22
340
101
48
57
87
328
223
399
1,664
2) 7월 일별 현황
일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일주일
발생
누계
최근 1주간 1일 확진자수
명수
3
4
2
6
5
19
17
31
10
24
7
19
21
9
일자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134
19.14명
명수
10
14
11
11
8
34
24
29
15
14
12
17
23
3) 감염경로 분류 * 외부 영향 : a + b
구분
합계
제주 확진자 접촉자
타지역·해외 입도객(b)
확인중
소계
도민
타지역
(a)
소계
국내
해외
입국
확진자(명)
399
240
208
32
102
91
11
57
비 율(%)
100.0
60.2
52.1
8.0
25.6
22.8
2.8
14.3
4) 연령대별 발생 현황
구분
계
0세
~9세
10세
~19세
20세
~29세
30세
~39세
40세
~49세
50세
~59세
60세
~69세
70세 ~
확진자(명)
399
16
57
104
86
62
45
21
8
비 율(%)
100.0
4.0
14.3
26.1
21.6
15.5
11.3
5.3
2.0
5) 성별 발생 현황
구 분
계
남자
여자
확진자(명)
399
243
156
비 율(%)
100
60.9
39.1
제주지역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27일 제주에서는 총 5,339명(1차 4,970명 / 완료 369명)에 대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이뤄졌다.
28일 0시 기준 제주지역 누적 1차 접종자는 총 23만 0,882명이며, 접종 완료자는 9만 0,560명이다.
1) 제주지역 접종률
(단위 : 명, %)
전 체
인구수1)
(A)
접종대상
인구수
(B)
접종목표(C)
(B * 70%)
접종자 수(D)
인구대비
(D/A*100)
접종대상대비
(D/B*100)
목표대비
(D/C*100)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674,635
575,116
402,580
230,882
90,560
34.2
13.4
40.1
15.7
57.4
22.5
1) 2020.12월말 제주도민 인구 수 ※ 제주도민(외국인포함) 인구수 697,578명 대비 접종률 1차 33.1%, 완료 13%
2) 이상반응 신고 현황
구분
소계
일반1)
특별관심이상반응
중증
의심사례
사망
사례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의심사례
전체
신규
9
9
-
-
-
-
누계
1,169
1,151
1
1
7
9
AZ
신규
5
5
-
-
-
-
누계
810
807
1
1
-
1
화이자
신규
3
3
-
-
-
-
누계
272
257
-
-
7
8
얀센
신규
-
-
-
-
-
-
누계
80
80
-
-
-
-
모더나
신규
1
1
-
-
-
-
누계
7
7
-
-
-
-
※ 관련 문의 :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총괄과 현승호 역학조사팀장 064) 710-4071
30일부터 드림타워 등 대규모점포 출입명부 관리 의무화
- 3,000㎡이상 마트 등 6곳서 제주안심코드 인증 등 출입기록 관리 강화 -
오는 30일부터 제주드림타워 등 3,000㎡이상 대규모점포 6곳에서 출입명부 관리가 의무화된다.
※ 이마트(3), 롯데마트, 삼성홈플러스, 제주드림타워
❍ 이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백화점 등 대규모점포 출입명부 관리 강화 방안’에 다른 것이다.
❍ 중대본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1·2단계에서는 현행대로 방역 예방 활동과 개별 점포 중심으로 출입 관리를 시행하되 3단계부터는 권역 확산 등 대유행 초기에 접어든다는 점을 고려해 출입명부 관리 도입 의무화 계획을 27일 발표했다.
❍ 최근 수도권 백화점 집단감염을 계기로 신속한 역학조사를 통해 대규모 추가확산 차단 및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복안이다.
대상 시설은 집단감염 발생 시 대규모 확산 우려가 큰 유통산업발전법상 매장면적 합계가 3천㎡(약 909평) 이상인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대규모 점포다. 동네 슈퍼 등 준(準) 대규모 점포와 전통시장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 업계의 준비 기간을 고려해 시행은 오는 30일부터다.
❍ 제주도는 대규모점포의 출입명부 도입 시행이 혼선 없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현장 모니터링과 제주안심코드 사용 안내 등을 적극 홍보해 나갈 방침이다.
※ 관련 문의 :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대응과 김양순 방역정책팀장 064) 710-4971
대규모 점포 출입명부 관리 강화방안 추진 계획
? 추진배경
❍ 백화점 집단감염 발생을 계기로 신속한 역학조사를 통해 대규모 추가 확산 차단 및 국민 안전을 위한 대규모 점포에 대해 출입명부 관리 의무 시행 결정(’21. 7.27 / 중앙안전대책본부 정례회의시)
? 대규모 점포에 대한 특별방역 대책 행정조치
❍ (처분기간) 2021년 7월 30일(금) 0시 ~
❍ (처분근거)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9조제1항제2호의2
❍ (처분대상) 도내 대규모 점포(매장면적의 합계 3,000㎡ 이상) 7개소 <붙임참조> * 「유통산업발전법」제2조 제3호에 따른 대규모 점포
❍ (처분내용) 3단계부터 대규모 점포 출입명부관리(안심콜, QR코드 등) 의무화
* 1, 2단계에서는 방역활동 예방과 매장내 식당 등 개별 점포중심 출입명부관리
❍ (처분사유) 3단계는 권역 확산 시점이자 대유행 초기 상황으로, 집단감염 차단 및 국민 안전을 위해 강화된 방역수칙 적용 필요
❍ (위반 시) ➀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➁ 추후 확진자 발생 시 방역비용에 대한 구상권 청구 등 *감염병 예방법 제83조
? 대규모점포 : 7개소(운영 6, 미운영* 1)
상 호 명
소재지
매장면적(㎡)
㈜신세계
이마트 제주점
삼도2동
8,014
(주)신세계 이마트신제주점
노형동
7,148
롯데쇼핑(주)
롯데마트 제주점
노형동
10,972.65
제주드림타워
노형동
(노연로12)
8,942.96
삼성테스코(주)
홈플러스
서귀포점
동흥동
6,441
㈜신세계
이마트
서귀포점
법환동
7,799
제주프리미엄
전문점
안덕면 신화역사로304번길38
8,834.54
*제주프리미엄전문점 영업하지 않음
14명 제주 확진자 접촉자, 3명 입도객·타 지역 접촉자 등 외부 요인, 6명 유증상자
30일부터 드림타워 등 대규모점포 출입명부 관리 의무화
[종합] 27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23명 발생
- 14명 제주 확진자 접촉자, 3명 입도객·타 지역 접촉자 등 외부 요인, 6명 유증상자 -
- 제주시 게스트하우스 관련 집단사례 추가… 파티 통해 3곳서 총 15명 확진자 발생 -
- 제주도민 중 1차 접종자 23만 882명·완료 9만 560명… 목표대비 1차 57.4% 달성 -
제주특별자치도는 27일 하루 동안 총 2,397명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진단검사가 진행됐고, 이중 23명(제주 #1642~1664번)이 확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23명의 감염경로를 보면 ▲14명은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제주 #1642~1644, 1648~1653, 1656, 1657, 1659, 1660, 1633번) ▲3명 입도객 또는 타 지역 확진자 접촉자(제주 #1647, 1654, 1662번)다.
이외 ▲6명은 코로나19 유증상자(제주 #1645, 1646, 1655, 1658, 1661, 1664번)로, 감염원을 파악하기 위한 역학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 이날 확진자 23명 중 7명(제주 #1652, 1653, 1654, 1658, 1659, 1660, 1662번)은 타 지역 거주자이며, 나머지 16명은 제주지역 거주자다.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 14명 가운데 3명(제주#1643, 1644, 1651번)은 격리 중 확진됐는데 이중 1명은 ‘제주시 유흥주점 3’집단감염 사례(제주 #1651번)와 연관됐다.
❍ 1651번은 제주 1443번의 접촉자로 ‘제주시 유흥주점3’관련이 있다.
- 코로나19 증상은 없으며,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됐다.
- 1651번이 추가 확진됨에 따라 ‘제주시 유흥주점3’ 관련 확진자는 25명으로 늘었다.
❍ 다른 2명(1643·1644번)은 가족 간 전파로 조사됐다.
- 1643번은 제주 1507번의 가족으로 격리 중 몸살 기운을 보여 재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됐다.
- 1644번은 제주 1413번의 가족으로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됐다.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로 파악된 나머지 11명 중 1명(제주 #1657번)은 가족 간 감염이며, 10명(제주 #1642, 1648~1650, 1653, 1656, 1657, 1659, 1660, 1633번)은 선행 확진자와의 만남 등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1657번은 제주 1638번의 가족으로 접촉자로 분류돼 검사 결과, 양성 판정됐다.
❍ 1642번은 제주 1584번의 접촉자, 1648번은 제주 1570번의 접촉자, 1649·1650번은 제주 1627번의 접촉자, 1652·1656번은 1634번의 접촉자, 1653번은 제주 1634번․1652번의 접촉자, 1659·1660번은 제주 1658번의 접촉자, 1663번은 제주 1618번 확진자의 접촉자로, 선행 확진자와 동일한 공간을 이용하며 동선이 다수 겹쳤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날 수도권 입도 또는 타 지역 방문 이력 등 외부요인으로 확진된 사례는 3명(제주 #1647, 1654, 1662번)이다.
❍ 1647번은 제주도민으로 21일부터 23일까지 업무차 부산에 체류하는 동안 경남지역 확진자와 접촉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 1654번은 26일 여행 목적으로 입도한 후 다음날(27일)부터 발열 등의 증상을 보여 검사 받은 결과, 확진됐다.
❍ 1662번은 업무차 26일 입도했는데 다음날(27일) 서울시 확진자의 접촉자로 통보돼 검사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제주 1645·1646·1655·1658·1661·1664번 확진자는 코로나19 관련 유증상이 나타나 자발적으로 검사 받은 결과, 양성 판정받았다.
❍ 방역당국은 이들 6명의 감염원을 파악하기 위해 역학조사 중이다.
제주도는 확진자를 격리 입원 조치하고, 자택 및 숙소 등에 대한 방역소독을 완료했다.
❍ 또한 확진자 진술, 신용카드 사용내역, 제주안심코드 등 출입자 명부 확인, 현장 폐쇄회로(CC)TV 분석 등을 통해 이동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하고 있다.
한편, 제주시 소재 게스트하우스를 중심으로 이용자·종사자 등 총 10명이 확진되면서 집단사례가 추가 발생했다.
❍ 게스트하우스 집단사례와 관련 최초 확진자는 경기도 평택시 1666번 확진자와 경기도 오산시 597번 확진자로 조사됐다.
- 평택시 1666번과 오산시 597번은 지난 16일과 17일 제주시 구좌읍 소재 ㄱ게스트하우스를 이용했다.
- 당시 게스트하우스 내 이용자들이 공용공간을 함께 이용하면서 투숙객 2명과 관계자 6명이 잇달아 확진 판정받았다.
- ㄱ게스트하우스와 관련 현재까지 총 10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진자 10명 중 7명은 제주지역 확진자이며, 3명은 타 지역 확진자다.
- 또한 ㄱ게스트하우스 스태프 8명 등 이용객 46명에 대한 격리 조치가 진행됐다.
❍ 현재 집단사례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게스트하우스 내 투숙객이 다른 게스트하우스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추가 감염이 이뤄지는 사례도 발생했다.
- 광주광역시 3239번은 관광차 입도 후 20일 제주시 애월읍 소재 ‘ㄴ’게스트하우스에 머물렀다.
- 이 과정에서 접촉한 제주 1624번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됐다.
- ‘ㄴ’게스트하우스에 체류했던 제주 1624번은 이후 제주시 조천읍 소재 ‘ㄷ’게스트하우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투숙객 및 관련자 등 3명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두 곳의 게스트하우스와 관련 확진자는 5명이다.
5명 중 2명은 제주지역 확진자이며, 3명은 타 지역 확진자로 확인됐다.
- 현재 관련 게스트하우스 관계자 및 투숙객 21명은 자가 격리 조치가 이뤄졌다.
❍ 확진자 대부분은 20대로 파악됐다.
투숙 과정에서 숙식을 함께하고, 대화 등 비말 발생이 많은 활동을 통해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 방역당국은 게스트하우스 내 불법 파티 등 방역수칙 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위반 시 처벌할 방침이다.
28일 오전 11시 현재 도내 누적 확진자 수는 총 1,664명이다.
❍ 제주에서 격리 중인 확진자는 191명(성동구 확진자 1명 포함), 부산시 이관 2명, 대전시 이관 1명이다. 격리 해제자는 1,471명(사망 1명, 이관 20명 포함)이다.
❍ 도내 가용병상은 152병상이며, 자가 격리자 수는 총 1,734명(확진자 접촉자 1,181명, 해외입국자 553명)이다.
7월 들어 제주에서는 총 399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확진자 별 세부 현황은 다음의 표를 참고하면 된다.
❍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19.41명이며,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1.093으로 여전히 유행 확산 상태를 보이고 있다.
1) 제주지역 월별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월별
2
3
4
5
6
7
8
9
10
11
12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누계
명수
2
7
4
2
4
7
20
13
0
22
340
101
48
57
87
328
223
399
1,664
2) 7월 일별 현황
일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일주일
발생
누계
최근 1주간 1일 확진자수
명수
3
4
2
6
5
19
17
31
10
24
7
19
21
9
일자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134
19.14명
명수
10
14
11
11
8
34
24
29
15
14
12
17
23
3) 감염경로 분류 * 외부 영향 : a + b
구분
합계
제주 확진자 접촉자
타지역·해외 입도객(b)
확인중
소계
도민
타지역
(a)
소계
국내
해외
입국
확진자(명)
399
240
208
32
102
91
11
57
비 율(%)
100.0
60.2
52.1
8.0
25.6
22.8
2.8
14.3
4) 연령대별 발생 현황
구분
계
0세
~9세
10세
~19세
20세
~29세
30세
~39세
40세
~49세
50세
~59세
60세
~69세
70세 ~
확진자(명)
399
16
57
104
86
62
45
21
8
비 율(%)
100.0
4.0
14.3
26.1
21.6
15.5
11.3
5.3
2.0
5) 성별 발생 현황
구 분
계
남자
여자
확진자(명)
399
243
156
비 율(%)
100
60.9
39.1
제주지역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27일 제주에서는 총 5,339명(1차 4,970명 / 완료 369명)에 대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이뤄졌다.
28일 0시 기준 제주지역 누적 1차 접종자는 총 23만 0,882명이며, 접종 완료자는 9만 0,560명이다.
1) 제주지역 접종률
(단위 : 명, %)
전 체
인구수1)
(A)
접종대상
인구수
(B)
접종목표(C)
(B * 70%)
접종자 수(D)
인구대비
(D/A*100)
접종대상대비
(D/B*100)
목표대비
(D/C*100)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674,635
575,116
402,580
230,882
90,560
34.2
13.4
40.1
15.7
57.4
22.5
1) 2020.12월말 제주도민 인구 수 ※ 제주도민(외국인포함) 인구수 697,578명 대비 접종률 1차 33.1%, 완료 13%
2) 이상반응 신고 현황
구분
소계
일반1)
특별관심이상반응
중증
의심사례
사망
사례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의심사례
전체
신규
9
9
-
-
-
-
누계
1,169
1,151
1
1
7
9
AZ
신규
5
5
-
-
-
-
누계
810
807
1
1
-
1
화이자
신규
3
3
-
-
-
-
누계
272
257
-
-
7
8
얀센
신규
-
-
-
-
-
-
누계
80
80
-
-
-
-
모더나
신규
1
1
-
-
-
-
누계
7
7
-
-
-
-
※ 관련 문의 :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총괄과 현승호 역학조사팀장 064) 710-4071
30일부터 드림타워 등 대규모점포 출입명부 관리 의무화
- 3,000㎡이상 마트 등 6곳서 제주안심코드 인증 등 출입기록 관리 강화 -
오는 30일부터 제주드림타워 등 3,000㎡이상 대규모점포 6곳에서 출입명부 관리가 의무화된다.
※ 이마트(3), 롯데마트, 삼성홈플러스, 제주드림타워
❍ 이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백화점 등 대규모점포 출입명부 관리 강화 방안’에 다른 것이다.
❍ 중대본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1·2단계에서는 현행대로 방역 예방 활동과 개별 점포 중심으로 출입 관리를 시행하되 3단계부터는 권역 확산 등 대유행 초기에 접어든다는 점을 고려해 출입명부 관리 도입 의무화 계획을 27일 발표했다.
❍ 최근 수도권 백화점 집단감염을 계기로 신속한 역학조사를 통해 대규모 추가확산 차단 및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복안이다.
대상 시설은 집단감염 발생 시 대규모 확산 우려가 큰 유통산업발전법상 매장면적 합계가 3천㎡(약 909평) 이상인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대규모 점포다. 동네 슈퍼 등 준(準) 대규모 점포와 전통시장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 업계의 준비 기간을 고려해 시행은 오는 30일부터다.
❍ 제주도는 대규모점포의 출입명부 도입 시행이 혼선 없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현장 모니터링과 제주안심코드 사용 안내 등을 적극 홍보해 나갈 방침이다.
※ 관련 문의 :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대응과 김양순 방역정책팀장 064) 710-4971
대규모 점포 출입명부 관리 강화방안 추진 계획
? 추진배경
❍ 백화점 집단감염 발생을 계기로 신속한 역학조사를 통해 대규모 추가 확산 차단 및 국민 안전을 위한 대규모 점포에 대해 출입명부 관리 의무 시행 결정(’21. 7.27 / 중앙안전대책본부 정례회의시)
? 대규모 점포에 대한 특별방역 대책 행정조치
❍ (처분기간) 2021년 7월 30일(금) 0시 ~
❍ (처분근거)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9조제1항제2호의2
❍ (처분대상) 도내 대규모 점포(매장면적의 합계 3,000㎡ 이상) 7개소 <붙임참조> * 「유통산업발전법」제2조 제3호에 따른 대규모 점포
❍ (처분내용) 3단계부터 대규모 점포 출입명부관리(안심콜, QR코드 등) 의무화
* 1, 2단계에서는 방역활동 예방과 매장내 식당 등 개별 점포중심 출입명부관리
❍ (처분사유) 3단계는 권역 확산 시점이자 대유행 초기 상황으로, 집단감염 차단 및 국민 안전을 위해 강화된 방역수칙 적용 필요
❍ (위반 시) ➀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➁ 추후 확진자 발생 시 방역비용에 대한 구상권 청구 등 *감염병 예방법 제83조
? 대규모점포 : 7개소(운영 6, 미운영* 1)
상 호 명
소재지
매장면적(㎡)
㈜신세계
이마트 제주점
삼도2동
8,014
(주)신세계 이마트신제주점
노형동
7,148
롯데쇼핑(주)
롯데마트 제주점
노형동
10,972.65
제주드림타워
노형동
(노연로12)
8,942.96
삼성테스코(주)
홈플러스
서귀포점
동흥동
6,441
㈜신세계
이마트
서귀포점
법환동
7,799
제주프리미엄
전문점
안덕면 신화역사로304번길38
8,834.54
*제주프리미엄전문점 영업하지 않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