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29일 코로나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로나 알림이
작성일21-06-29 16:45 조회342회 댓글0건

본문

제주지역 신규 확진자 32.3% 변이 바이러스 감염 추정
29일 관광객 등 외부 요인으로 코로나19 확진자 6명 발생
제주도, 5인 이상 집합금지 위반 식당·카페 등 6곳 적발

제주지역 신규 확진자 32.3% 변이 바이러스 감염 추정

29일 관광객 등 외부 요인으로 코로나19 확진자 6명 발생

- 변이 감염 사례 15건 추가 ‘누적 104명’, 역학적 연관성 고려 시 239명 달해 -

- 이달 신규 발생 70.9% 확진자 접촉자, 9.5% 외부 요인… 19.5% 감염원 조사 중 -

- 제주도민 인구 대비 1차 29.1%·완료 9.1%… 19만 6,647명 1회 이상 접종 맞아 -

 

 제주지역에서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 15건이 추가로 확인됐다.

 

 제주특별자치도는 29일 도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 중 15명으로부터 주요 변이 바이러스(알파·델타)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 앞서 발표한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를 포함할 때 제주지역 주요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는 누적 104명으로 늘어났다.

 

❍ 변이 바이러스가 추가로 확인된 15명 중 14명은 알파 변이(α, 영국발) 감염자이고, 1명은 알파 변이보다 전파력이 강해 국제적으로 우려가 커지고 있는 델타(δ, 인도발) 변이 감염자이다.

 

❍ 이로써 도내 변이 감염자 104명 중 101명은 알파 변이, 1명은 베타(β, 남아프리카공화국발) 변이, 2명은 델타(δ, 인도발)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로 확인됐다.

 

 특히 신규 변이 검출자 15명 가운데 13명(12명 알파 변이, 1명 델타 변이)은 개별 사례에서 발생했지만 2명(2명 알파 변이)은 급속한 가족 간 전파를 보였던 ‘제주시 일가족9’집단 감염 관련 확진자다.

 

❍ 제주시 일가족9 집단 감염 사례는 이달 9일 2명, 10일 1명, 11일 1명에 이어 18일 격리 해제 전 검사를 받은 2명까지 영향을 미치며 총 6명의 확진자가 나온 바 있다.

 

 도내 누적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 가운데 해외 입국자 2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102명은 모두 국내 감염으로 추정된다.

 

❍ 국내 감염으로 추정되는 102명 중 52명은 개별 사례에서 발생했으며, 50명은 급속한 전파력을 보였던 집단 감염 관련자들이다.

 

❍ 현재까지 역학조사를 통해 변이 바이러스 관련 집단 사례는 총 9개로 분류됐다. 세부적으로 ▲‘대학 운동부’ 21명 ▲‘제주시 지인1’ 3명 ▲‘제주시 일가족 5’4명 ▲‘제주시 일가족 7’ 2명 ▲‘제주시 지인 2’5명 ▲‘제주시 직장 및 피로연’ 7명 ▲‘제주시 직장2’ 5명 ▲‘제주시 지인 모임3’ 1명 ▲‘제주시 일가족9’ 2명이다.

 

❍ 직접적으로 변이 분석을 하지 않았지만, 기존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로부터 감염이 되거나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를 감염시키는 등 역학적 연관성이 확인된 감염자는 총 135명으로 추정된다.

 

- 알파 변이 관련 133명, 델타 변이 관련 2명이며 아직 베타 변이 바이러스 전파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 변이 바이러스 검출이 확인된 확진자와 역학적 연관성까지 모두 고려할 때 제주지역에서 주요 변이에 감염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확진자는 239명에 달한다.

 

- 알파 변이가 234명으로 97.9%를 차지했으며, 베타 변이가 0.4%(1명), 델타 변이가 1.7%(4명)이다.

 

❍ 도 방역당국이 변이 바이러스 분석을 시작한 올해 2월 1일부터 최근 감염자를 확인한 6월 29일까지 제주지역 신규 확진자 740명 가운데 32.3%(알파 변이 31.6%, 베타 변이 0.1%, 델타 변이 0.5%)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인 셈이다.

 

제주지역 전일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현황

 

 28일 제주지역에서는 총 981건의 코로나19 진단검사가 진행됐고, 이 가운데 6명(제주 #1257~1262번)이 양성으로 확인됐다.

 

 29일 오전 11시 현재 제주지역 누적 확진자 수는 1,262명이다.

 

❍ 하루 새 6명의 확진자가 나오면서 이달에만 220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올해에는 총 841명이 확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1주일간(6월 19~25일 / 28명 발생) 신규 확진자 수는 4명으로 집계됐으나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유행 확산’을 의미하는 1을 넘겨 1.053을 보이고 있다.

 

 6월 신규 확진자 220명 가운데 183명(83.2%)은 도민이거나 도내 거주자이며, 37명(16.8%)은 외국인을 비롯해 타 지역 거주자로 확인됐다.

 

❍ 이달 확진자의 70.9%(156명)는 선행확진자의 접촉자로 130명(59.1%)은 제주지역 확진자의 접촉자이고, 26명(11.8%)은 타 지역 확진자의 접촉자다.

 

❍ 또한 9.5%(21명)는 타 지역 방문 이력자나 입도객 등 외부 유입으로 인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파돼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는 최근 하루 평균 4만명이 넘는 입도객이 방문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관광객 확진자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해외 방문자는 7명(3.2%), 수도권 등 타 지역 방문 이력자는 14명(6.4%)이다.

 

❍ 감염 경로를 조사 중인 확진자는 총 43명으로 이달 신규 확진자의 19.5%를 차지한다.

 

 전일 확진자 6명 가운데 1명(제주 #1257번)은 제주도내 거주자이고, 나머지 5명(제주 #1258~1262번)은 타 지역 거주자(세종시 2, 대전시 1, 서울시 1, 경기 성남시 1)다.

 

❍ 현재까지 역학조사 결과 타 지역 거주자들은 모두 관광을 하기 위해 제주를 찾은 것으로 파악됐다.

 

❍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던 1명도 입도한 지인과 여행을 하며 감염된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전날 확진자들은 모두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제주 1257번 확진자 ㄱ씨는 제주 거주자로 세종 550번 확진자의 접촉자이다.

 

- 세종 550번 접촉자와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제주 여행을 했으며, 지인이 세종시에서 확진 판정을 받자 검사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 제주 1258번 확진자 ㄴ씨와 1261번 확진자 ㄷ씨는 가족으로 세종시 거주자이다.

 

- 이들은 관광을 하기 위해 지난 23일 제주로 왔다.

 

- 제주를 여행하던 중 ㄴ씨는 대전 2603 확진자와 동선이 겹쳤다는 연락을 받고 검사를 진행한 결과 확진된 것으로 조사됐다.

 

- ㄴ와 함께 입도한 가족도 검사를 받고 1261번 확진자가 됐다.

 

❍ 제주 1259번 확진자는 ㄹ씨는 대전시 거주자로, 역시 관광을 하기 위해 27일 제주를 방문했다.

 

- 입도 직후 대전 2600번 확진자의 접촉자로 통보받고 코로나19 진단검사를 한 결과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다.

 

- ㄹ씨와 대전 2600번 확진자와는 입도 전인 25일 접촉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 제주 1260번 확진자 ㅁ씨는 서울지역 거주자로 지난 22일 1256번과 함께 입도했다.

 

- ㅁ씨는 1256번의 확진 직후 접촉자로 분류돼 검사를 받은 결과 확진됐다.

 

❍ 제주 1262번 확진자 ㅂ씨는 용인 3270번 확진자의 접촉자다.

 

- ㅂ씨는 27일 입도 후 지인의 확진 소식을 듣고 진단 검사를 받은 결과 확진됐다.

 

- ㅂ씨는 지난 24일 용인 3270번 확진자와 만난 이력이 있다.

 

❍ 제주도는 이들 확진자를 격리 입원 조치하고 진술을 확보하는 한편 신용카드 사용내역 파악, 제주안심코드 등 출입자 명부 확인, 현장 폐쇄회로(CC)TV 분석 등을 통해 이동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하고 있다.

 

❍ 29일 오전 11시 현재 제주에서 격리 중인 확진자는 45명(강북구 확진자 1명 포함)이며, 격리 해제자는 1,218명(사망 1명, 이관 3명 포함)이다.

 

❍ 제주지역 가용병상은 298병상이며, 도내 자가 격리자 수는 총 542명(확진자 접촉자 159명, 해외입국자 383명)이다.

 

제주지역 코로나19 예방접종 진행 현황

 

 29일 0시 기준으로 1차 접종자는 총 19만 6,647명이고, 접종 완료자는 6만 1,639명이다.

(단위 : 명, %)

전 체

인구수1)

(A)

접종대상

인구수

(B)

접종목표(C)

(B * 70%)

접종자 수(D)

인구대비

(D/A*100)

접종대상대비

(D/B*100)

목표대비

(D/C*100)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1차

완료

674,635

575,116

402,580

196,647

61,639

29.1

9.1

34.2

10.7

48.8

15.3

1) 2020.12월말 제주도민 인구 수 ※ 제주도민(외국인포함) 인구수 697,578명 대비 접종률 1차 28.2%, 완료 8.8%

 

 

❍ 전날에는 1,608명(1차 206명 / 완료 1,402명)에 대한 접종이 이뤄졌으며, 29건의 이상 반응이 신고 됐다.

 

- 이상 반응은 모두 두통, 발열 등 가벼운 경증 사례로 확인됐다.

 

❍ 제주도민 전체 인구수 대비 1차 접종자는 29.1%, 완료자는 9.1%다.

 

❍ 현재까지 제주지역 이상반응 신고 접수는 총 938건(아스트라제네카 716건·화이자 157건·얀센 65건)이며 이 중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17명(아나필락시스 의심 1건,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의심사례 1건, 중증 의심 8건, 사망 7건)으로 변동이 없다.

 

※ 관련 문의 :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 방역총괄과 현승호 역학조사팀장 064) 710-4071

 

제주도, 5인 이상 집합금지 위반 식당·카페 등 6곳 적발

- 28일 코로나19 취약시설 138곳 대상 점검… 행정처분 1건·행정지도 5건 조치 -

 

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28일 다중이용시설 등 코로나19 취약시설 138곳을 대상으로 방역실태에 대한 집중점검을 실시한 결과 행정처분 1건, 행정지도 5건 등 총 6건의 위반 사항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 5인 이상 집합금지를 2회 위반한 식당·카페 1곳에 대해서는 행정처분 조치했으며,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이다.

 

❍ △마스크 미착용(실내체육시설) 3곳 △5인 이상 집합금지 위반(식당·카페) 2곳에 대해서는 행정지도 명령을 내렸다.

 

 제주도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된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28일 현재까지 다중이용시설 등 8,927곳을 대상으로 집중 방역 점검을 진행한 결과, 총 145건의 위반 사항을 적발했다.

 

❍ 적발사항은 과태료 부과 등 행정처분 59건, 행정지도 86건이다.

 

❍ 행정처분 사항으로는 △집합제한(영업시간) 미준수 24건 △소독·환기대장 등 미작성 12건 △출입자 명부 미작성 7건 △음식물 섭취 위반 7건 △5인 이상 집합금지 7건 △거리두기 위반 1건이다.

 

❍ 행정지도 사항은 △5인 이상 집합금지 40건 △마스크 미착용 23건 △출입자 명부 작성 미흡 11건 △손 소독제 미비치 3건 △소독·환기대장 작성 미흡 3건 △이용자 주류반입 3건 △집합제한(영업시간) 미준수 2건 △테이블 간 거리두기 미흡 1건 등이다.

 

 제주도는 제주형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종료되는 6월 30일까지 양 행정시, 자치경찰단, 읍면동 등과 합동으로 코로나19 취약시설에 대한 집중 방역점검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 관련 문의 : 도민안전실 재난대응과 문경종 사회재난팀장 064) 710-36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